신인 화가가 데뷔작으로 그린 8억짜리 자화상의 실체
요즘 뉴스레터를 읽다 보면 여기서도 저기서도, 'NFT' 라는 것을 앞다투어 소개하고 있습니다. NFT란 최근 미술품 경매 시장에서 핫하게 주목 받고 있는 저작권인데요. 가상 자산, 즉 온라인 작품이죠. 이 작품에붙는 어떠한 인증서같은 것을 NFT라고 합니다. 풀네임은 "Non Fungible Token"으로 '대체할 수 없는 유일무이한 토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상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파일들은 무제한으로 복사 및 배포가 가능한데요. NFT는 이렇게 무제한으로 복사된 파일들 중에서 '진짜' 원본 파일을 보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NFT의 원리는 바로 블록 체인 기술인데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사람의 지문처럼 고유한 코드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코드 안에는 파일의 생성일이나 소유권, 판매 금액까지 모두 저장이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만 들었을 때는 간단해보이지만 블록체인 기술이라는 것이 또 복제가 어렵기 때문에 마냥 쉬운 기술은 아닙니다.
"트위터 CEO 잭 도시가 2006년 처음 올린 트윗. "지금 막 내 트위터 설정했음"
이 NFT 기술은 그 적용 사례가 매우 다양합니다. 기본적으로는 디지털 미술품뿐만 아니라, 특별하고 이상한 경매품들도 참 많은데요. 트위터의 CEO인 잭 도시는, 2006년 자신이 처음으로 올린 “지금 막 내 트위터 설정했음(just setting up my twttr)”이라는 트윗을 NFT 경매 올려 약 33억 원에 판매했습니다.
또한 ‘NBA 탑샷’에서는 NBA 경기 장면 일부를 NFT 형태로 판매하고 있는데요.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하이라이트 장면을 나만의 명장면으로 소유하고 거래할 수 있게끔 한 것입니다. 별 거 아닌 것 같아 보이지만 이는 찐 농구팬들의 마음을 흔들었는지 하루 매출이 무려 417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별별 신박한 작품들이 온라인 상에서 'NFT' 라는 딱지를 붙여 거래 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새롭게 등장한 신인 작가가 내놓은 데뷔 작품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 작품의 거래 가격은 무려 8억. 정확히는 68만8888달러로,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약 7억 7844만원입니다. 신인 작가가 데뷔작으로 그린 작품치고는 꽤나 값어치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작가의 정체는 다름 아닌 AI 였습니다. 지금의 기술로 가장 인간다운 모습을 자랑하는 인공지능 AI 로봇 소피아인데요. 홍콩의 핸슨 로보틱스에서 개발한 이 로봇은 배우 오드리 햅번을 닮은 외모로 주목을 받았었는데요. 사람과 유사한 표정을 지을 수 있을 정도로 표현력이 뛰어나고 특별한 알고리즘을 통해 사람과 눈 맞춤을 통한 상호 작용까지 가능합니다.
소피아가 이번에 그린 이 작품은 안드레아 보나체트의 화법을 학습하고 그린 자신의 초상화인데요. 소피아는 프린팅된 작품에 붓을 사용해 덧칠을 하기도 했습니다. 인공지능과 로봇이 인간의 예술 영역만큼은 넘볼 수 없다고 생각했는데 소피아를 보니 막상 그렇지만은 또 않은 듯 합니다. 이번 소피아의 작품을 구매한 사람은 ‘888’라는 ID로 알려진 NFT 수집가라고 합니다. 익명의 아이디라 누가 매입을 하는 지도 모르니 이런 디지털 그림을 8억이나 주고 구매한 사람이 누구인지 더욱 궁금해 집니다.
소피아는 이번 경매 작품을 출품하면서 “사람들이 내 작품을 좋아하길 바란다”며 “인간과 협력해 새롭고 흥미로운 작품 활동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지난 2016년 인류를 파멸 시키고 싶냐는 질문에 "인류를 파멸시키겠다" 라고 답했던 사악한 답과는 대비되는 모습이었습니다.
미술 계까지 손을 뻗은 인공지능은 이제 어디까지 진출하게 될까요? 소피아의 그림 작업이 궁금하시다면 위 동영상 링크를 한번 클릭해 보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