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로봇공학자들이 예측하는 2024 로봇 트렌드 6가지 🧑💻
2024 로봇키워드 / 생성형 AI / 휴머노이드로봇 / 자율주행 로봇(AMR) / Rust 언어 / 로봇관제시스템
2023년은 로봇 업계에
큰 변화가 있었던 한 해였어요.🤖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같은
거대한 로봇기업들의 상장부터
정부의 로봇 부문 예산 증가 등
기업부터 정부까지
로봇에 관한 관심은 식을 줄 몰랐죠.🔥
작년을 기점으로 로봇업계에
불어온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 붐으로 인한
파급 효과는 더 거세질 예정인데요.
2023년의 로봇 트렌드를 분석해보면서
2024년 로봇 산업은 어떤 일을 겪게 될지
미리 한번 내다볼 때입니다.
로봇전문가들이 뽑은
2024년에 주목을 받을 로봇공학 트렌드
6가지를 소개할까 해요!👀
생성형 AI🧠
생성형 AI 챗GPT의 등장으로
2023년엔 수많은 생성형 AI가 등장했어요.
로봇 공학에서도 생성형 AI는
가장 큰 트렌드 중 하나였는데요.
이 생성형 AI가
2024년엔 더욱 두드러질 전망입니다.👀
로봇 연구원과 개발자는 이미
생성형AI인 GenAI를 사용하여
어려운 조작 작업에 대한
로봇의 학습 속도를 높이고 있는데요.
로봇공학자들은 생성형 AI가
로봇이 자연어 지시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로봇을 더욱
개성 있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찬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인간과의 협업🤝
제조, 산업 부문에서만
거의 사용되고 있던 로봇이
이제는 호텔, 병원, 주차장 등
사람들과 더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영역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 현대모비스가 일반 제조현장이나 스마트팩토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을 선보인다. 인간과 로봇의 상호 작용을 통해 안전하게 협업하는 로봇기술이다.
로봇의 자리가 확대된 것 또한
생성형 AI가 접목 가능했기 때문인데요.
생성형 AI로 사람과의 협업이
더 자연스러워지며
고도화된 업무까지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자율주행 로봇(AMR)
2024년에 주목해야 하는
또 하나의 트렌드는 바로 자율주행입니다.
기존에 정해진 길만 따라서
이동했던 로봇들과 달리 스스로 판단하고
학습하는 자율주행 로봇(AMR)는
2024년에 더욱 높게 평가될 예정인데요.
사실 자율주행 로봇(AMR)은 초기엔
많은 업계에서 사용을 주저한 기술이었어요.😥
▲ 인아텍앤코포가 MiR 250과 MiR 600 등 AMR을 부스에 시연하고 있다. (출처 : 헬로티)
AMR 제조업체 미르(MIR)의
마케팅 및 전략 담당 부사장인 Rasmus Smet Jenson은
"AMR이 시장에 출시된 지 약 10년이 되었으며
처음 몇 년 동안은 로봇 애호가나 로봇전문가만이
AMR에 관심을 보였지만,
이제는 수많은 산업 분야의 기업이
AMR에 관심을 보이고 구매하려 합니다."고 전했어요.
2024년에는 자율주행 로봇이 창고에서 나와
비구조화된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자율주행로봇(AMR)은
물류자동화나 공장자동화를 위해
주로 도입되고 있는데요.
마로솔엔 자율주행로봇(AMR)뿐만 아니라
무인지게차, 경량령 물류로봇 등
자동화에 필요한 모든 로봇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로봇(AMR)로
소팅, 팔레타이징, 오더피킹을
이뤄내고 싶으시다면?
지금 바로 위 이미지를 클릭해
마로솔 물류로봇전문가와
상담해보세요!📞
휴머노이드 로봇🦾
테슬라의 AI 휴머노이드 옵티머스가 무대로 입장하고 있는 모습(사진:영상캡처)
2023년엔 다양한 기업들이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어냈죠.
대표적으로 테슬라의 옵티머스가
생각납니다.
2024년도 2023년과 마찬가지로
휴머노이드에 대한 열풍이
로봇에 관한 관심은 보이는데요.😎
출처: Tesla Bot Update | Sort & Stretch
많은 로봇공학자들은
아직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 작업을 대체하고, 미래 인력을
재편하기 위해선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하겠지만,
인간 수준의 인식과 컴퓨터 비전 기술의 발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에
많은 기여를 끼칠 것으로 보고 있어요.🧑💻
2024년 로봇공학 개발자가 사용할 언어 'Rust'
리눅스의 개발자인 리누스 토발즈는
곧 출시될 Linux 6.1 커널에서
Rust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될 것이라고 언급했어요.
이로 인해 로봇 개발자는
프로그래밍 프로토콜로서
C에 덜 의존하게 되었는데요.
최근 로봇공학자들은
Rust의 고유한 메모리 안전성과
관리는 로봇 공학 세계에
매우 적합하다고 설명했어요.
최근에 탄생한 로봇 스타트업에서도
Rust 언어를 선택했으며, 활성 개발 프로젝트의
범위와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ROS (로봇 운영 체제) 프레임워크 내에서
작업하는 Rust 작업 그룹과
프로젝트의 참여와 채택이
로봇에 관한 관심은 있다고 합니다.
원격으로 조종해요. 로봇관제시스템 🦾
2024년엔 로봇이란 하드웨어를 넘어
로봇을 한 화면에서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로봇기업들의 다음 스텝으로
분석되고 있어요.🦶
마로솔도 그 스텝을 준비 중인데요.
국내외 모든 로봇을
다룰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해
이종.다종의 로봇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솔링크’를 개발한 겁니다.
이미 솔링크는
고객들이 주로 찾는
브랜드 제품에 대해
상당 부분 구현을 마쳤어요.
HD 현대로보틱스, LG전자,
오므론, 오리온스타부터 키논과
푸두로보틱스 제품 등까지
연동에 성공했답니다.🙌
솔링크 기능에 대해 더 자세히 보시고 싶으시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클릭하시면 SOLlink 소개 페이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 세계 로봇공학자들과 함께
2024년에 예상되는
6가지 로봇공학 트렌드에 알아봤어요.
생성형 AI, 인간과의 협업,
자율주행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Rust 프로그래밍 언어,
로봇관제시스템
이 5가지 키워드가
대한민국의 로봇 시장에선
어떻게 작용하게 될까요??🤔
또 다른 로봇 트렌드가 나오면
마로솔에서 재빠르게
알려드릴게요!😜































